모든 것이 문화가 된다

728x90
반응형

 

사진 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왼쪽이 국보 78호, 오른쪽이 국보 83호

 

1. 금동반가사유상

 

금동반가사유상(金銅半跏思惟像)은 특정 유물의 고유 명칭이라기보다 재료+형태를 나타내는 말이다. ‘금동’은 동으로 형태를 만들어 겉에 금을 입혔음을 의미하고, ‘반가사유’는 반가부좌를 하고 생각에 잠긴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를 풀면 한쪽 다리를 걸치고 앉아 생각에 잠겨있는 모습을 동으로 만들어 금을 입힌 것이다.

 

2. 국보 78호와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은 수없이 많이 만들어졌고, 여러 작품이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국보 78호와 83호이다. 두 작품 모두 균형 잡힌 신체와 물 흐르듯 표현된 옷 주름, 살며시 볼에 기댄 손과 보일 듯 말듯한 미소까지 최고의 미를 보여준다. 두 불상은 삼국시대인 6~7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출처는 알 수 없으나 83호의 경우 신라에서 만들어졌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

 

78호와 83호 모두 높이는 80-90cm로 사람의 크기와 비슷하다. 78호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식(中空式)으로 만들어 두께가 매우 얇다고 한다. 78호와 83호의 외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보관과 치마의 주름이다. 78호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나 치마의 주름은 선으로 표현되었다. 반면 83호는 삼산관 또는 연화관으로 불리는 단순한 관을 쓰고 있지만 치마의 주름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78호와 83호는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 독방을 차지하고 있다. 6개월 단위로 78호와 83호를 교체하며 전시한다. 따라서 두 작품을 보려면 일 년에 최소 2번은 중앙박물관에 가야 한다. 몇 년 전에 두 작품을 나란히 전시한 적이 있다.

 

국보 78호와 83호, 사진 직접 촬영

3. 미륵인가 아닌가

 

반가사유상은 석가모니가 태자였던 시절 중생의 고통에 대해 고뇌하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중국에서는 태자사유상(太子思惟像)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태자 시절 부처의 모습보다는 보살, 특히 미륵보살의 모습을 띄게 되었다.

미륵보살이 누구인가? 56억 7천만년 후라는 먼 훗날에 나타나 모든 중생을 구원해 주신다는 분이다. 금동 반가사유상이 많이 만들어진 시기가 6-7세기 삼국시대, 전쟁이 끊이지 않던 시대였음을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미륵보살에게 의지해 전장에 나간 것이 아닐까?

 

그렇지만 모든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예전에는 국보 78호와 83호도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이라고 불렀지만 최근에는 그냥 금동반가사유상이라고 부른다.

 

4. 일본 고류지 반가사유상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 사진 출처: 고류지 위키피디아

 

국보 83호와 쌍둥이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유사한 것이 일본 고류지(広隆寺)에 있는 목조 반가사유상이다. 두 불상은 재료가 다를 뿐 삼산관의 형태, 치마 자락의 처리, 신체 균형 등이 매우 흡사하다. 일본의 목조 반가사유상이 신라에서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이는 불상의 재료인 소나무가 한국에서만 자란다는 점과 신라에서 가져온 불상을 성덕태자가 하타 씨에게 보내 고류지에 모셨다고 일본서기에 기록된 것에 바탕을 둔다. 하지만 정확한 출처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언젠가 국보 83호와 고류지 불상을 나란히 놓고 바라보고 싶다.

 

 

5. 부처님이 중생에게 내리는 제도(濟度)

국보 83호, 사진 직접 촬영

 

재료가 무엇인지, 언제 만들어졌는지, 출신이 어디인지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불상이, 아니 부처님이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일 것이다. 사방이 어두운 전시실에서 혼자 빛을 받고 있는 불상을 보고 있노라면 나의 존재는 우주 속 한없이 작은 먼지가 된다. 밑에서 올려다 본 부처님의 얼굴에는 그런 먼지 같은 중생조차 감싸 안는 옅은 미소가 담겨있다. 조용히 반가사유상을 보고 있으면 그저 평온해진다.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냈던 혜곡 최순우 선생은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에서 금동 반가사유상을 부처님이 중생에게 내리는 제도(濟度, 부처가 생사가 반복되는 세상에서 중생을 건져내어 열반에 이르게 하는 것)라고 표현했다.

 

그렇다. 생로병사의 굴레에서 허우적거리는 인간에게 넌지시 손을 내밀어주는 미소가 그곳에 있다.

 

이 글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와 관련 도서, 일본 고류지 위키피디아를 참조해서 작성했습니다. 이 글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 도용을 금지합니다. 사진의 저작권은 사진 출처에 속합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